5·18기념재단, '5·18민주화운동 왜곡대응·진상규명' 출판기념회 개최

오는 18일 오후 2시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

 

전남투데이 안철우 기자 |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 출판기념회를 6월 18일 오후 2시,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진행한다.

 

행사는 ▲5·18민주화운동 왜곡 대응·진상규명 운동의 전개와 의제(정호기) ▲사진으로 본 5·18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 운동(양라윤) ▲지만원 재판 과정(임태호) ▲전두환 재판 과정(김정호) ▲후세의 역사가를 위한 기록물(이재의) ▲회고와 증언(참가자) ▲5·18 왜곡 대응 제안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5·18민주화운동의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을 위한 과정에는 국회와 정치권, 광주광역시, 시민사회, 법조계, 종교계, 학계 등의 역할이 지대했고 다층적으로 협력관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길지 않은 시간이 흘렀지만 증언자를 찾기 쉽지 않았고, 수집 자료에 담긴 내용 이상을 증언할 사람이 드물었다.

 

이에 재단은 『5·18민주화운동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에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들과 광주광역시 변호사들의 한층 체계적이고 정밀한 공동대응의 의지를 갖게 한 왜곡 양상의 변화를 정리했다. 그중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 활동이 왕성했던 2015년부터 2021년에 집중했다. 이 국면의 흐름과 맥락 이해를 위해 전후에 전개되었던 상황과 사건들도 정리했다.

 

 

구체적으로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의 사법 처벌 이후 ▲5·18 왜곡 양상의 변화 ▲지만원과 전두환 회고록 출간 등 법률대응 ▲정치·행정·시민사회의 연대와 협력 ▲왜곡 행위 근절을 위한 특별법 개정 ▲진상규명을 이끈 전일빌딩 총탄 흔적 발견과 헬기사격 논쟁 ▲행방불명자 규명과 암매장 추정지 발굴 ▲정부와 미국 기밀문서 해제 ▲성폭력 정황과 입증 조사 ▲5·18진상규명법 제정 운동과 관련 대응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 성과와 과제, 근본적인 왜곡 방지를 위한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 등에 관해 정리했다. 또한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 운동 관련자 증언 ▲왜곡대응과 진상규명 운동 일지(2002~2021)를 공유한다.

 

5·18민주화운동 왜곡 대응은 2000년대 초반부터 사법부의 판단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2002년 8월 신문에 등장한 지만원의 5·18 왜곡·폄훼 광고, 2008년 1월 지만원의 5·18 왜곡 인터넷 게시물 게재가 이에 해당한다. 사법부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2010년대 중반부터 왜곡서적 간행, 유인물 제작과 배포, 강연 등 더욱 공세적인 양상을 띠었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왜곡을 펼치는 자들은 전두환과 지만원에 국한되지 않았다. 방송과 언론은 그 정도가 특히 심각하고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파장이 우려되는 왜곡 보도를 하기도 했다.

 

이에 기념재단은 광주 변호사들과 협력하여 법률대응을 전개했다. 광주광역시와 시민사회단체들과 연대활동도 진행됐다.

 

2013년 5월 22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변호사 13명은 <5·18민주화운동 왜곡에 대응하는 법률지원단>을 구성, 2018년 <광주지방변호사회 5·18민주화운동 특별위원회> 개칭과 공동대응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