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가자침공 공포에 주민 수만 명 피란길에…

하루 110만 명 대피령에 국제사회 “재앙 부른다” 비판
미국 ‘안전지대’ 요구… 민간인 대량살상 우려 지속

 

전남투데이 유동국 기자 |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근거지인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군의 침공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스라엘군은 성명을 며칠 내 가자시티 내 대규모 군사작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혀 격렬한 시가전이 펼쳐질 것임을 경고했다.


14일(현지시간) 외신 보도와 UN소식통을 종합하면 이스라엘군은 “24시간내 가자지구 주민 230만 명의 절반에 해당하는 110만 명에게 전날 남쪽 대피를 요구했다”과 밝혔다.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국은 이스라엘 통보 이후 이날 현재까지 남쪽으로 이동한 주민이 수만 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 사이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공습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들은 하루 새 25% 늘어 42만 명을 넘어섰다.


이에 국제사회는 대피 시한이 촉박해 미처 피란을 떠나지 못한 이들이 교전 속에 대규모로 살상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지며 “재앙 부르냐”는 반발을 드러냈고 미국은 ‘안전지대 마련’을 요구했다.


하마스는 인간방패 전술을 꺼내 들 듯 이스라엘의 대피령을 선전전으로 일축하고 주민들에게 집에 머물라고 요구했다.


유엔은 이스라엘의 대피령이 주민 110만여 명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인도주의적 위기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전쟁에도 규칙이 있다”며 민간인 보호를 호소했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은 “필시 인도주의적 대가가 따를 것”이라며 “비극을 재앙으로 바꿀 수 있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도 “가자지구의 무제한적 파괴가 끔찍한 테러 때문에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의 최대 우군인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도 국제사회의 우려 속에 가자지구 내 인도주의적 위기 대처가 우선순위라고 밝혔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은 “하마스를 공격할 때 전쟁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가자지구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지대 설치 방안을 이스라엘, 이집트와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는 가자지구 남부와 맞닿은 이집트의 라파 국경을 개방해 민간인 대피를 돕겠다는 구상이다.


가자지구 보건청에 따르면 이날까지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팔레스타인인 1천900명이 숨지고 7천696명이 다쳤다.


하마스 해체를 목표로 하는 이스라엘의 단호한 보복 목소리는 계속되고 있으나 한편 이스라엘이 경고한 시한 24시간은 데드라인을 지나 연기될 조짐이다.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안다”며 애초 강경한 태도에서 한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요아브 갈란트 국방부 장관은 하마스에 대한 군사 작전에 대해 “길고, 치명적이고, 강력하며, 영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군은 지난 14시간 동안 가자지구 내에 억류된 인질의 행방을 파악하기 위한 수색 작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는 대규모 지상전을 준비하기 위한 국지적 작전으로 관측되고 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