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화재는 막을 수 있는 인재이다!!

 

최근 5년(`17. ~ `21.) 전국 공사장 화재 4,181건, 인명피해 376명(사망64, 부상 312)

그 중 용접작업 중 부주위로 인한 화재 2,059건, 인명피해 143명(사망8, 부상135)으로 공사장 화재 중 용접으로 인한 화재가 무려 약 49%에 달한다.

 

화재사례를 보면 대형 아파트 공사장에서 용접작업으로 인해 주변 스티로폼 등에 불티가 튀는 경우, 상가건물의 내부 인테리어 작업 중 건축자재에 튀는 경우, 배관 용접작업 중 보온재에 불티가 튀는 경우 등이 있다. 용접불티는 중심부 온도가 1000~2000℃에 이르기 때문에 주위의 먼지나 종이에 착화되기 쉬워 그 어떤 점화원보다 화재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부주의가 원인이라서 필자는 더욱 안타깝다.

가연물의 종류와 장소의 특수성으로 인해 일단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피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역으로 생각해보면 작업 중 주의를 기울인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렇다면 건축 공사장 화재 중 용접으로 인한 화재를 막는 법을 알아보자.

 

· 화재는 탈 물질이 없으면 발생하지 않는다.

용접작업 시 주변에 탈 물질을 없애고, 폭발성·인화성 물질을 두지 않고 안전거리(15m이상)가 확보된 장소에 보관하며,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는 불꽃받이 나 방염시트로 주변 가연물과 철저히 분리시킨다면 충분한 효과를 보리라 생각된다.

 

· 화재는 초기진압이 가장 중요하다.

작업장 주위에는 반드시 소화기와 물통, 건조사, 불연성 포대 등 소화장비를 마련하고 작업을 실시하자. 화재 감시인을 배치해 작업장 주변을 감시하거나 유사시에 소화기ㆍ마른 모래ㆍ소방시설 등을 활용하도록 하고, 초기 진화가 어렵다면 무조건 대피하여야 한다. 화재대피용 방연 마스크 비치는 생존률을 높이는 좋은 방법일 수 있으며, 초기 진화나 대피 시에 효과를 보려면 평소에 사전교육은 필수라고 생각 한다.

 

· 마지막으로 꺼진 불도 다시보자.

작업이 끝난 후 1시간 동안 날아간 불티나 가연성 물질의 내부에서 불꽃 없이 타는 일이 없는지 확인하고, 가연성 증기가 체류할 수 있다면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반드시 배출하고 재작업 해야 한다.

 

부주의를 주의함으로써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면, 그동안 무심코 했던 무사안일에서 벗어나 노력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 하며, 건설현장에서 업을 이어가는 모든 이에게 무사고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글을 마칠까 한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