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단일지도체제’ 유지… 당대표 선출 민심 반영 20~30%

 

전남투데이 박동운 기자 | 국민의힘 당헌당규 특별위원회가 지도체제와 관련해 현행인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당대표 선출 방식은 당심 80%, 민심 20%로 뽑는 안과 당심 70%, 민심 30%로 뽑는 안 중에 선택키로 했다.


여상규 당헌당규특위원장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현행 단일 지도체제, 부대표를 두는 복수(2인) 지도체제, 그리고 집단 지도체제 세 가지 안을 놓고 논의했으나 지도체제와 관련한 개정안을 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단일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아 대표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형태다. 당대표 선거에서 탈락한다고 최고위원이 되는 것이 아니다. 반면 집단지도체제는 1등이 대표가 되고 2등 이하가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이다.


여 위원장은 “위원 7명 중 3명은 일반여론조사 반영 비율 30%안에 찬성했고 다른 3명은 20% 반영안에 찬성했고 나머지 1명은 중립 의사를 밝혔다”며 “이 결과에 따라서 비대위에는 8:2안 그리고 7:3안 이 두 가지를 각각 반영한 당헌·당규개정 초안을 넘기기로 의결했다”고 말했다.


특위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2인 지도체제’를 제안하면서 당내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지도체제 변경에 대해선 단일지도체제 현행유지를 결정했다.


당 대표 결선투표제 또한 현행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됨에 따라 똑같이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결선투표제는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추가로 결선을 진행하는 제도다.


또 모든 선출직 당직자가 대통령 후보자 경선에 출마할 경우 1년 6개월 전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당권·대권 분리 제도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여 위원장은 “당심 100%로 당대표를 선출하다가 민심을 반영해 참고하게 됐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당을 걱정하고 나라를 걱정하고 국민 생각해야 하는 정치인들 관점에서 많은 고민 끝에 이런 결론을 내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특위로부터 이같은 보고를 받은 후 당헌·당규 개정 논의를 한 후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이번 전대에 적용할 룰과 지도체제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