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제주도, 청정수소와 V2G 기술로 에너지 전환 혁신 선도한다

제주도, 글로벌 청정수소 전망과 정책, V2G 스마트 분산자원 구축 전략 세션 운영

 

전남투데이 천세두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는 2024년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with 글로벌 분산에너지 포럼)에서‘글로벌 청정수소 전망과 정책’, ‘V2G 스마트 분산자원 구축 전략’을 주제로 한 세션을 열어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제주의 에너지 혁신방안을 모색했다.

 

18일 오후 2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삼다홀에서 진행된 ‘글로벌 청정수소 전망과 정책’ 세션에서는 대한민국, 미국, 네덜란드, 덴마크의 전문가들이 각국의 청정수소 정책 사례를 공유하고,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은 청정수소 정책이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수단이며, 제주의 재생에너지·청정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 정책과 대한민국의 수소정책을 높이 평가했다.

 

‘수소경제 발전전략’을 주제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양훈철 본부장, 주한미국대사관 제너퍼 윌린 미국에너지부 한국대표, 주한네덜란드대사관 피터 웰하운즈 과학기술혁신부 실장, 주한덴마크대사관 박의진 선임상무관이 차례로 각국의 사례를 발표했다.

 

외교부 제2차관을 역임한 이태호 로펌‘광장’고문이 좌장을 맡아 각국에서 추진하는 청정수소 정책의 강점과 해결과제, 방안에 대해 모색했다.

 

오후 4시에 같은 장소에서 진행된 ‘V2G 스마트 분산전원 구축 전략’ 세션에서는 전기차 운행 비율이 가장 높은 제주에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해 전력망 운영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이 이뤄졌다.

 

국내외 V2G(Vehicle-to-Grid) 동향과 기술, V2G 사업 전용 요금제와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내 V2G 사업 등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졌으며, 발표자들은 전기차가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는 가장 강력한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면서, 비즈니스 모델 구현을 위한 제도 설계와 민관 협업의 유기적인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EV 충전플랫폼 전문회사인 차지인 최영석 대표가 글로벌 V2G 동향과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 AI 전문기업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이효섭 부사장이 국내 V2G 실증사업 현황 및 기술 동향 발표를 통해 국내외 V2G 동향을 공유했다.

 

전력거래시장 제도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전력거래소 이성우 차장은 V2G 참여 전력시장 영역 확장 과제 및 V2G사업 전용요금제 도입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인창욱 현대건설 책임매니저가 제주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신사업으로 V2G 제안 사업을 소개했다.

 

이번 세션의 주제인 V2G가 분산에너지 신기술임을 감안해 김인환 서울대학교 지속가능발전연구소 교수가 진행을 맡아 청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면서, 발표 주제 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맡았다.

 

V2G는 전기자동차와 전력망 사이의 양방향 전력 흐름을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가 단순한 전력 소비자에서 진보한 이동식 에너지저장장치로서의 유럽과 미국 사례에서 보듯이 재생에너지 유연성 자원으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제주의 청정수소 정책과 국내외 청정수소 정책의 방향성이 다르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청정수소 산업을 제주의 기반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제주는 전기차를 활용해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과 지속적인 민관 협업을 통해 에너지 신기술 도입의 혁신 도전 과제를 추진해 나가겠다고”고 덧붙였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