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의원들의 작태가 갈수록 가관이다. 주민들을 대표해 의회에 들어간 이들이 과연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되묻게 만드는 장면이 연일 벌어지고 최근 의원들의 일탈이 연이어 언론에 보도되는가 하면 이제는 곡성군청을 경찰청 반부패수사대가 압수 수색하는 사태까지 벌어져 군민들이 큰 낙담과 군민임을 부끄러워하고 있다. 군민들을 대의 한다는 명분으로 선출된 이들이 정작 주민의 삶을 외면하는 모습은 분노를 넘어 참담함을 느끼게 만든다. 회의장에 앉아 있기는커녕 자리를 비우거나, 억지 발언만 늘어놓는 의원들이 부지기수다. 의정 활동비와 세비를 챙기면서도 지역 현안을 외면하는 이른바 ‘무늬만 의원’들이 곡성군민의 대표 자격으로 의회에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 군 행정의 감시와 견제가 본분임에도 집행부와 유착해 ‘거수기’ 노릇을 자처하는 의원들이다. 행정 집행 과정의 잘못을 날카롭게 지적하기는커녕 일부는 되레 의원 본인들의 이권 채우기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주민의 세금으로 얹힌 자리에서 주민의 이익이 아닌 자신의 이익을 위한 ‘정치 장사’를 벌이는 것이다. 이것이 과연 주민이 바랐던 지방 자치의 모습인가. 더 기가 막힌 것은 잇단 추문과 비리 의혹이다. 지금까지 의원 다수가
스마트폰, 전동킥보드, 무선청소기 등 일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리튬이온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고용량·고효율이라는 장점 덕분에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지만, 동시에 화재와 폭발 위험을 안고 있다는 점은 간과하기 쉽다. 최근 전동킥보드 충전 중 발생한 화재로 인명피해가 이어진 사례는 우리 모두에게 큰 교훈을 준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의 원인은 다양하다. 충격이나 낙하로 내부 단락이 발생하기도 하고, 정품이 아닌 충전기를 사용하거나 장시간 충전 상태로 방치해 발열이 심해지는 경우도 많다. 고온의 차량 내부나 난방기구 근처에 두는 것도 위험하며, 습기에 의한 회로 손상도 화재 요인으로 작용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용자의 올바른 습관이 필요하다. 반드시 정품 충전기와 배터리를 사용하고, 충전 시에는 자리를 오래 비우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또한 밀폐되거나 통풍이 되지 않는 장소에서의 충전은 피해야 한다. 배터리가 팽창하거나 발열이 심해지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안전하게 폐기해야 하며, 폐기 시에는 반드시 지정된 수거함을 이용해야 한다. 리튬이온배터리는 편리한 만큼 위험성도 공존하는 ‘양날의 검’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작은 실천만으로도 사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