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천세두 기자 |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는 3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수탁 연구용역 과제인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를 위한 “제주지역 초고령사회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도민공청회”를 개최했다.
- 이번 공청회는 제주지역의 2026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을 발굴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의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에서 도민들의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첫 번째는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 김재희 센터장이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에 대하여 발표했다.
김재희 센터장은 제주지역 인구고령화 및 정책 추진 현황과 세대별 및 전문가 의견수렴 결과를 설명하고, 초고령사회 대응정책 방향 및 세부 정책과제(안)로 ▲고령사회 헬스케어 강화, ▲고령자의 사회역할 확대, ▲노후생활 경제적 불평등 완화, ▲노년기 인식 제고 등을 제안했다.
특히, 효과적인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서는 정책컨트롤타워인 ‘(가칭)고령사회대응국’ 조직 신설이 필요하다는 제언 등을 제시했다.
제주지역 초고령사회 대응방안 기본 정책 방향(안)에 대한 발표 후에는 질의응답과 함께 참석자들로부터 자유롭게 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 노인 세대를 아우르는 연령층이 넓음에도 획일적인 노인 정책이 추진되는 것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세대 간 필요와 욕구가 다르므로, 각 세대에게 맞는 일자리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노인 세대 안에서의 연령대별 특성의 파악이 필요하고 그들의 필요와 욕구를 도출해 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또한, 도내 노인 관련 유관기관 간의 현안 논의가 가능한 자리의 마련과 업무공유 및 협의 사항에 대한 공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그 외에도 연구용역 내용의 수정․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들이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