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천세두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이 최근 급증하는 고령자 보행 교통사망사고 예방과 보행안전 증진을 위해 보행신호체계와 교통안전시설을 개선에 나섰다.
도내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감소세를 보였으나, 65세 이상 고령자 사고 비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 26명 중 20명(76.9%)이 고령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치경찰단은 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협업해 고령자 비율이 높은 지역과 고령 방문자가 많이 찾는 병원 및 복지관 주변 교차로 횡단보도 등 219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해 보행신호체계 개선을 추진한다.
우선 교차로에서 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보행 전 시간 기법’을 적극 도입한다. 이는 차량 신호 종료 후 1~2초 뒤 보행신호가 표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행신호에 건너는 고령자와 교차로를 미처 통과하지 못한 차량 간의 충돌 위험을 예방한다.
또한 횡단보도 보행신호시간을 고령자의 평균 보행속도에 맞춰 연장(기존 1.0m/s→ 0.7m/s)*한다. 단일 횡단보도에서는 신호주기를 단축해 보행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는 방안도 함께 적용할 계획이다.
자치경찰단은 「도 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 교통안전에 관한 조례」 개정도 추진한다. 노인보호구역 외에도 교통약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조성하는 보행안전로에 보호구역에 준하는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보행신호체계 개선사업에 참여한 이민정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역본부장은 “제주지역 도로교통안전 전문기관으로서 어르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자치경찰단과 협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광조 자치경찰단 교통정보센터장은 “다양한 기관과 협업을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신호체계를 구축해 고령자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