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박상훈 기자 |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기업 큐텐이 운영하는 플랫폼 티몬과 위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이어지며 소비자 피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24일 대통령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소비자와 판매자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재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와 금융당국에서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검토중”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대표자와 주주 쪽에 자금조달 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했고, 위메프와 티몬이 소비자와 판매자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시급히 지도하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공정위는 소비자 피해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피해자들을 구제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큐텐은 국내에서 티몬, 위메프 등을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자금난으로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벌어졌다. 특히 여행사들은 지난달 대금 정산이 이뤄지지 않아 티몬과 위메프를 통한 상품 판매를 최근 중단했다.
위메프와 티몬에선 판매자에 대한 대금 정산뿐 아니라 소비자 환불도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위메프·티몬을 통해 판매된 상품권 사용도 막힌 상태라 소비자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 이후 본사 건물을 폐쇄했던 티몬이 분노한 소비자들의 현장 점거에 26일 새벽 결국 본사에서 환불 신청을 받았다.
전날 아침부터 티몬 본사 앞에 모여든 소비자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순번표에 따라 접수를 시작했으며, 현재까지는 계좌로 결제 금액을 환불받은 이들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티몬 관계자들은 신청받은 정보를 우선 결제대행업체에 넘긴 상황이라고 한다.
이날 새벽 환불 소식이 알려지면서 택시를 타고 소비자들이 속속 현장에 도착했다. 오전 6시께 건물 안팎에 500여명이 줄을 서서 대기 중이다. 전날 아침부터 쓰기 시작한 순번표는 1000번을 넘어섰다.
전날 회사 대표가 본사를 찾아 현장 환불을 하고 상황 설명을 한 위메프와 달리 티몬은 아예 건물을 폐쇄해버린 탓에 몰려온 이들이 분통을 터뜨렸다.
소비자 100명이 신사동 건물 지하 1층에서 현장 조사를 위해 찾아온 공정거래위원회 직원과 티몬 직원의 귀가를 막아서면서 "관계자 불러내라! 입장 발표해라"고 고성을 지르며 한때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이들 직원은 26일 새벽 티몬 직원들이 현장 환불을 신청받기 시작한 뒤에야 귀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