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

 

전남투데이 박상훈 기자 |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이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 특설무대에서 열렸다.

 

올해 추도식은 5000여명의 추모객들이 모인 가운데 ‘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입니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는 노 전 대통령이 지난 2004년 12월 6일 프랑스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 초청받았을 때 했던 연설의 한 구절이다.

 

이날 추도식에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를 비롯한 유가족,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했고, 홍철호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이 함께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본인 명의의 추모 화환을 보내 애도를 표했다.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김준우 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등 여야 정치권 인사들도 봉하마을에 대거 집결했다.

 

-이 외 김동연 경기도지사, 박완수 경남도지사, 김관영 전북도지사, 김영록 전남도지사 등 자치단체장들도 추도식을 찾았고,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참석했다.

 

공식 추도사는 노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의 멘토로 알려진 송기인 신부가, 시민추도사는 명계남씨가 낭독했다.

 

송기인 신부는 추도사를 통해 "오늘 이 자리에서 우리는 새롭게, 올곧게 거듭나려 합니다. 역사의 당당한 주체로서, 세상의 주인으로서 자세를 가다듬고 당신께서 꿈꾸던 '사람 사는 세상'을 이루겠다고 다짐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은 역사로부터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미래를 꿈꾸고 있는가. 지금 여러분의 생각과 실천이 내일의 역사가 될 것이다’는 노 전 대통령의 말을 인용하며 “당신의 뜨거운 절규를 이 자리에서 가슴에 새기고 성큼성큼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명계남 배우는 시민추도사를 통해 님이 남기신 말과 글을 수백 번 옮겨 쓰고 읽고 보고 듣고 다시 들여다보고, 그러고 나면 그러고 나면 마음이 좀 가라앉습니다. 그러면서 살아 볼 용기를 다시 내봅니다. 언제나 지금도 님은, 부족한 제게 삶의 기준이며 지표입니다"라고 했다.

 

이날 시민들의 묘역 참배도 줄을 이었다. 시민들은 이날 아침 일찍부터 국화를 들고 참배하기 시작했고, 아들 노건호씨를 비롯한 유가족들은 먼저 오전 9시에 참배했다. 재단측은 이날 오후 1시경부터 추도식이 열리는 동안 시민참배를 중단하기도 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