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권은 이대로는 성공할 수 없어… 대풍이 몰려오고 있음을 직시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지 두 달이 넘었다. 두 달여 만에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부정평가가 긍정 평가보다 높게 나오는 ‘약세전환 지표’로 나오거나, 약세전환 지표가 임박하는 결과들이 나왔다.

 

보수 신문의 사설이나 칼럼의 논조도 대통령에 대한 우려가 깊다. 특히 조선일보의 김대중, 중앙일보의 “윤석열 정권은 성공할 수 있을까”이다. 경제를 다룬 경험도 없다. 검찰 말고는 인맥도 없다. 한마디로 ‘준비된 대통령이 아니다’”라며 “이는 단순히 좌우의 이념적 대치나 여야 정치게임의 차원을 넘어 국민의 안녕과 나라의 존립이라는 명제와 맞닿아 있다”고 썼다.

 

안혜리, 동아일보의 김순덕 등 대표적 보수 칼럼니스트들로 꼽히는 이들이 모두 한목소리로 윤 대통령의 행보의 우려를 보인다.

 

김건희 여사의 패션과 관련한 정보가 김건희 여사의 친오빠에게서 나온다는 것을 짚고, “대통령 가족의 소소한 패션 정보 유출을 넘어 지난 스페인 순방 때는 김 여사와 평소 친분이 두터운 민간인 신 모 씨가 동행하고, 돌아올 때는 심지어 대통령 전용기로 함께 귀국하는 일까지 벌어졌다”며 “더불어민주당이 5년 만에 정권을 내준 건 국민을 대놓고 우습게 봤기 때문이다. 지금 딱 그때 생각이 난다”라고 썼다.

 

같은 날 동아일보 김순덕 대기자의 칼럼 제목은 “위기의식 없는 대통령의 ‘건희 사랑’ 문제”다. 이 칼럼에서 김순덕 대기자는 “고물가·고유가·고환율 국민의 비명은 들은 모양이지만 상명하복에 익숙한 검찰 출신 대통령은 모를 것이다. 데드 크로스 대통령 아래에서는 국정 동력이 나오기 어렵다는 것을”이라며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하는 것은 윤 대통령 입장과 달리 “의미 없는 것”이 아니라고 짚었다.

 

하나의 유령이 여권 주변을 맴돌고 있다. ‘과거’라는 유령이. 고물가 고환율 고유가의 3고로 민생은 숨이 넘어가고, 전문가들조차 곧 퍼펙트스톰이 닥칠 거라고 경고하는데, 위기를 앞장서 헤쳐나가야 할 여권은 ‘과거 놀음’에 푹 빠져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대통령실도, 집권, 여당 국민의 힘도 마치 당면한 위기 타개의 비결이 거기 있는 양 ‘과거’에 집착한다.

그러는 사이에 앞 정권과는 다를 것이라고 기대를 걸었던 대선 지지층조차 서서히 고개를 돌리고 있다. 윤 대통령 지지도는 대선 득표율 아래로 쑥 내려갔다.

 

국민의 힘이 지금 가장 관심을 쏟는 것은 ‘서해 공무원 피격사건’인 것 같다. 앞 정권의 도덕성을 박살 낼 수 있다고 여기는지 연일 목울대를 세운다.

 

윤 대통령도 “탈북어민 송환사건을 다시 보고 있다"며 말을 보탠다. 하지만 국민은 여권발 ‘과거와의 전쟁’에 심드렁한 반응이다. 앞 정권에 대한 분노도, 현 정부에 대한 박수도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앞 정권의 잘못을 입증할 결정적 증거를 내놓은 것도 아니고 그냥 정쟁만 부추겨서다.

 

‘아직도 철 지난 색깔론의 약발을 믿느냐?’는 냉소적 시각도 있다. 나토정상회의 참석 후 윤 대통령은 ‘한미일 삼각 안보체제 복원’을 성과로 꼽았다. 그런데 한반도를 둘러싸고 한미일 때 북·중·러의 남북 삼각 대결 구도가 재현됐다는 점에서 보면 이것 역시 ‘과거의 유산’이다.

 

하다못해 윤 대통령이 첫 해외 방문 세일즈 품목으로 들고 나간 ‘원전’과 ‘방산’도 결코 미래 아이템은 아니다. 우리의 원전기술은 미래형 소형모듈원전(SMR)과 거리가 멀다. 방산도 따지고 보면 ‘전쟁 도구’일 뿐이다.

 

문제는 지금이 ‘과거’라는 유령에 집착할 정도로 한가한 시기냐는 것이다. 시장은 연일 최악을 경신하는 중이다. 코스피 2300선 붕괴는 이미 충격도 아니다. 상반기 무역적자는 건국 이래 최악이다. 6월 소비자물가는 외환위기 이후 최고다. 아마 앞으로도 당분간 경제지표는 더 악화할 것이다.

 

고물가와 부동산·주식시장 폭락은 취약계층과 ‘영끌’로 자산시장에 발을 들인 20·30세대의 목줄을 죄게 돼 있다. 여기에 한미일 삼각 공조 강화는 중국 리스크를 부추겨 우리 경제를 더욱 위축시킬 것이다. “변 밟았다. 큰일 났다”라는 금융당국자의 말마따나 현재가 숨 가쁜 상황이다.

 

이런 형국인데도 집권 세력에게서는 별로 긴장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위기상황에 대한 대통령의 메시지는 실종된 지 오래다. 국민의 힘은 ‘과거와의 전쟁’에 더해 대통령 눈 밖에 난 당 대표 밀어내기에만 열심이다.

 

민생법안이 급하다면서도 완전한 국회 원 구성까지는 아직도 얼마나 세월이다. 이게 복합위기 앞에 선 집권세력의 현주소다.윤 대통령과 국민의 힘에 대한 국민의 실망감은 이미 지지도에 반영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지지율이 또다시 급락했다. 부정평가가 60%를 상회하는 등 끝 모를 내림세에 여권 안팎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는 이유를 들어 매일 출근길 진행하던 도어스테핑(약식회견)을 취소했는데, 도어스테핑 과정 중 불거진 각종 논란과 최근 지지율 추이와 연계된 것 아니냐는 시선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지층 중 일부가 돌아섰다는 얘기다. 한 달 전만 해도 ‘민생·경제를 살피지 않음’을 부정평가 이유로 지목한 응답은 1~2%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10%를 넘어 확고한 2위로 자리 잡았다. “위기가 눈앞인데 무엇을 하고 있느냐?”는 질책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태풍이 몰려오는데 계속 ‘과거’에서 미적댈 것인가. 지지율 하락에 대해 윤 대통령은 “별 의미 없다”라고 대수롭지 않게 말했지만, 세상에 의미 없는 민심 지표는 없다. ‘실망’이 ‘분노’로 바뀌는 것은 순간이다. 자칫 이대로 간다면 정권 차원의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정치권 일각의 경고는 괜한 소리가 아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임기 내 국민 의사에 반하는 개헌을 할 수도 있고, 총선에서 국민의 힘이 패할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대통령 탄핵을 시도할 수도 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 놀이에 취해있지 말고 위기의식을 갖고 민심 회복에 나서야만 할 것이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