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군의회 문승옥 의원 군정질문, “지속가능한 구례형 발전모델로 미래 준비해야”

농어촌 기본소득 재정 확보·관광체제 전환·무형유산 진흥 등 3대 과제 제시

 

전남투데이 강길수 기자 | 구례군의회 문승옥 의원은 최근 열린 제324회 임시회 군정질문을 통해 농어촌 기본소득의 안정적 재원 확보, 구례 관광체제 전환, 무형유산의 보전·진흥 등을 3대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지속가능한 구례의 발전을 위해 행정의 변화를 촉구했다.

 

문 의원은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서 재정 부담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드러났다”며 “국비 상향, 광역·기초 간 분담 기준의 표준화, 지방재정 안정장치 마련 등 지속가능한 ‘구례형 재정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등 공유자원을 활용한 ‘재원창출형’으로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을 신청한 신안군, 영광군 2곳의 사례를 들며 구례군의 기본소득 모델을 ‘재원창출형’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광 체제 전환 관련해서는 정부가 추진 중인 ‘관광혁신 3대 전략’ 가운데 ‘반값여행’ 정책이 농어촌 지역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정부 정책에 반영될 반값여행의 구례군의 선점 계획 수립”을 강조했다.

 

더불어 기존의 구례 관광특구를 향토음식·문화콘텐츠를 연계한 지역 특화형 관광특구로 전환하고 관광정책 수립 시 민간 참여 확대를 위해 ‘구례군 관광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무형유산 분야에는 전수 여건이 열악한 상황을 지적하며, “무형유산 사업이 일회성 행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통의 맥을 잇고 사람을 키우는 지속가능한 전승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과 연계한 지역 인재 양성이야말로 구례 무형유산의 미래를 지키는 길”이라고 말했다.

 

문의원은 “지속가능한 구례형 발전모델 완성을 위해 제시한 3대 과제의 발빠른 이행”을 촉구하며, “구례를 대한민국의 문화관광·복지 수도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