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소방서(서장 윤예심)는 공동주택이 고층화 되고 증가하면서 화재 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공동주택 피난설비 사용법을 숙지해야 한다고 전했다.
공동주택은 다수가 거주하는 공간으로 화재발생 시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커 평소 우리 집 피난시설의 위치·종류·사용법을 익히고 대피요령을 숙지하는 게 중요하다.
대표적인 공동주택의 피난시설로는 경량칸막이와 대피공간, 완강기, 하향식피난구 등이 있다.
먼저, 경량칸막이는 화재 시 출입문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해 옆 세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피난을 돕는 칸막이로 부수면 이웃집으로 대피할 수 있는 시설이다.
이어 대피공간은 화재를 차단하는 내화구조의 벽체와 방화문으로 발코니에 설치되어 화염·연기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공간이며, 완강기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내려올 수 있는 피난기구로 연속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하향식 피난구는 아파트 발코니 등에 설치해 화재 시 피난사다리를 펼쳐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완도소방서 관계자는 “이웃과 가족의 안전을 위해 우리 집 피난 시설의 위치와 사용법을 사전에 숙지하고 화재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피난시설 주변 물건 적치 금지 등 관리를 철저히 해 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