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투데이 윤진성 기자]김승남 국회의원은 10월 8일 농촌진흥청 국정감사에서 밭농업기계화율 향상을 위해서는 농기계 개발과 함께 밭 기반 정비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촌현장에서는 인구의 감소, 고령화와 맞물려 코로나19 장기화로 농작업에 필요한 일손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대부분 기계화 경작이 가능한 논농사보다 수작업이 많은 밭농사의 경우 극심한 일손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논농업의 기계화율은 이미 98.6%로 대부분 기계를 활용하여 농작업이 진행되는 반면 밭농업은 최근 5년동안 218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씨를 뿌리고 어린 모종을 심는 파종·정식(12.5%), 농산물을 거둬들이는 수확(31.6%)은 22%에 불과하다.
주요작물별로 약 300평(1000m2)당 노동력 투입시간은 논벼(9.9시간), 양파(98.8), 마늘(113.6), 고추(141.5) 순이다. 이는 기계화율이 높은 것부터 논벼(98.6%), 양파(63.6%), 마늘(59.2%), 고추(47.0%) 순으로 기계화율 진척도가 가장 낮은 고추에서 노동시간과 인력이 가장 많이 필요했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5년간 18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36기종의 밭작물 농기계를 개발했다. 같은 기간 기계화율은 58.3%(2016년)에서 61.9%(2020년)로 3.6% 증가했다. 농기계 개발에도 기계화율 향상에 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밭 특성상 ▲중산간 지역에 위치 ▲집단화 여건 불리 ▲관개용수 공급 곤란으로 논보다 불리한 농지인 탓에 경지 정리를 통해 밭의 경사도를 낮춰야만 농기계가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승남 의원은“논농업과 밭농업의 기계화율 차이는 경지 정비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가의 차이”라며 “오랜 기간 밭농업 기계화율 제고에 막대한 예산과 연구인력을 투입하고 있지만, 밭기반정비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밭농업기계화율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농촌진흥청이 농기계 개발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밭기반정비가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우고, 농식품부‧지자체와 함께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