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의 문자메시지가 7·23 국민의힘 전당대회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영부인 김건희 여사가 총선 전인 지난 1월 한동훈 당시 국민의 힘 비상대책위원장에게 보냈다는 ‘명품 가방 수수’ 관련 문자메시지를 둘러싸고 국민의 힘 전당대회가 진흙탕 공방에 휩싸였다. 명품 가방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하겠다는 김 여사의 문자를 한 전 위원장이 무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한 전 위원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고 있다.
논란은 지난 4일 현직 언론인이 라디오 시사프로에서 문제의 문자 내용을 언급하면서 빚어졌다. 김 여사가 “몇 번이나 국민께 사과하려 했지만, 오히려 지지율이 떨어진 기억이 있어 망설였다. 당에서 필요하다면 대국민 사과를 포함해 어떤 처분도 받아들이겠다”라는 취지로 보낸 문자였다고 한다.
원문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확한 맥락을 섣불리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한 전 위원장이 중대한 총선 이슈이자 국정에 부담을 줄 만큼 정치적으로 쟁점화된 논란을 놓고 문자메시지에 아무 조처하지 않았다면 상식적으로 이해하긴 어렵다. 최소한 공당 대표로서의 입장을 설명하고 ‘공적 라인’을 통해 제대로 처리했더라면 불필요한 논란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공방은 사안의 본질과 무관하다. 김 여사의 디올백 수수는 대다수 국민에게 모욕감을 준 사안이다. 그 일로 당시 잠행 중이던 김 여사가 자신의 잘못을 인식했다면, 그 즉시 국민 앞에 진심으로 사죄했어야 마땅하다. 그걸 왜 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상의하나. 여당의 총선 유불리를 따지려는 얄팍한 계산이 앞섰던 것 아닌가. 한 후보의 행동도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자 파동은 국민의 힘 전당대회가 이전투구 양상으로 흐르게 하고 있다. 원희룡·나경원·윤상현 등 다른 당권 주자들이 한 후보에게 총선 책임론을 제기하며 후보 사퇴를 요구하고 나선 상황이다. 한 후보는 공개된 문자 내용이 사실과 다르고, 문자 공개는 전대·당무 개입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검사 시절 ‘검찰총장 부인’이던 김 여사와 수백 통 문자를 주고받은 사람이 왜 유독 국민의 의혹에 대해서만 공사 구분을 엄격히 했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느닷없이 불거진 논란의 정치적 배경을 의심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일부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한 전 위원장 대표직 후보 사퇴 촉구 연판장 움직임과 대통령실 개입 공방 등 지난해 3·8전당대회 때와 같은 후유증도 우려된다. 문자는 지난 1월 ‘대국민 사과를 포함한 어떤 처분도 받아들이겠다’는 등의 메시지를 한 후보에게 다섯 차례 보냈다고 한다. 한 후보가 문자를 읽고도 아무 답변도 하지 않아 김 여사는 모욕감을 느꼈고 윤석열 대통령도 격노했다는 전언이다.
당 안팎에서는 한 후보의 행동이 해당 행위로 지목됐고, 심지어 한 후보 사퇴와 관련된 ‘연판장’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점이다. 하지만 한 후보의 말은 다르다. 문자 내용은 김 여사가 사과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사과하기 힘들다는 것이 요지였다는 게 한 후보의 설명이다. 결국, 사태는 ‘진실 공방’으로 비화해 이를 둘러싼 난타전이 이어지는 중이다.
그런데 이번 논란의 간과할 수 없는 본질적 측면은 따로 있다. 대통령 부인과 여당 최고 책임자가 사적인 연락을 자주 주고받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이다. 공직자 신분이 아닌 영부인이 정부·여당 인사들과 직접 접촉하는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인사나 공천, 당무 등에 대한 개입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그리고 6개월 전 문자가 지금 공개됐는데, 그 시점도 의아하다. 친윤 진영은 문자를 무시하고 당정 갈등을 유발한 한 후보에게 총선 패배의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보고 있다.
물론 문자 원문이 공개되지 않아 총체적 진실은 판단하기 힘들다. 하지만 당내 싸움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은 절대 곱지 않다. 윤 대통령과 한 후보가 자기성찰보다는 책임 전가에 여념이 없고, 이런 와중에 다른 당권 후보들은 반사이익 챙기기에 급급한 모습이기 때문이다. 건전한 정책 경쟁이나 미래 비전 설계는 실종되고 구태의연한 네거티브 경쟁만 난무하는 집권 여당의 행태에 어떤 국민이 박수를 보내겠는가. 제22대 국회 개원 이후 여당 모습은 지리멸렬 그 자체다. 총선에서 대패한 결과다.
국민의힘의 이번 전당대회는 지도부 선출 절차를 넘어, 당을 추스르고 재건하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 일방적·수직적 당정관계를 재정립하고, 보수 혁신의 방향과 비전을 마련하려는 치열한 논쟁이 펼쳐질 줄 알았다. 한데, 매일 보여주는 모습은 진흙탕 싸움뿐이다. 총선 책임론, 당정 불화설로 시간을 허비하더니 김 여사 문자 공방으로 옮겨갔다. 여소야대 정국에서 소수 여당이 존재감을 회복하는 길은 뼈를 깎는 반성과 철저한 쇄신밖에 없다. 8일부터 시작되는 합동연설회·방송토론회도 저급한 싸움판으로 만들 작정인가. 집권 여당의 한심한 퇴행에 깊은 우려를 금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