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뉴스

어느 것도 제대로 된 게 없는 신품종 개발 및 보급

 

 [전남투데이 서영록 기자] 1962년 농촌진흥청이 설립된 이후부터 수 십년간 연구해 온 신품종개발이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보급 체계도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 무안 신안)이 8일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신품종개발 관련예산 및 개발 건수 현황”에 따르면, 최근 10년간(11~20년) 총 2,241억1천만원을 투입해 898품종을 개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표 1>

 

 2011년 대비 2020년 예산은 17.5% 증가했으나 품종개발 수는 오히려 36.1% 감소했다. 이에 대해 농진청은 “실용화 가능 품종개발에 집중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성과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작물별 국산품종점유율은 특용 45.4%, 화훼 42.5%, 과수 17.5% 순으로 저조했다. 특히 과수 중 감귤과 포도는 각각 2.8%, 4.5%에 불과했다. 채소에서는 양파가 29.3%, 특용에서는 약용이 22.7%, 화훼에서는 난이 20.1%로 저조했다.

 신품종 개발 및 보급 저조로 최근 10년간(11~20년) 무역수지에서 총 67조5,093억원 적자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지불된 로열티는 1,302억5천만원으로 연평균 약 130억원의 국부가 해외로 유출된 셈이다. <표 2>

 

 한편 「농촌진흥법」상 농진청 설립목적은 ‘농업‧농업인‧농촌과 관련된 과학기술의 연구개발‧보급’ 으로 품종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보급까지도 맡고 있다.

 

 그러나 품종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보급분야도 주먹구구식으로 진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10년간(11~20년) 개발된 898품종을 분석한 결과, 보급농가 수를 거의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표 3>

 

 898품종 중 37품종(4.1%)만이 보급농가로 파악됐다. 게다가 농진청 연구결과에 따른 품종 재배적합지역과 실제 재배지역이 다른 곳은 11곳으로, 미파악된 재배지역이 있어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진청은 신품종개발 주요성과로 식량자급률 제고와 품종국산화 등을 꼽고 있지만 보급 미흡으로 식량자급률 기여도를 알 수 없고, 품종 국산화율은 저조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서삼석 의원은, “신품종개발 목적은 고품질품종 개발 및 보급을 통한 식량자급률 향상과 종자산업 활성화로 농업인의 소득을 증대하는 것이다”며, “개발품종 보급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는 등 신품종개발 및 보급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표 1> 

 

 

<최근 10년간(11~20년) 신품종개발 관련사업 내 품종개발 예산 현황 >

작물’11’12’13’14’15’16’17’18’19’20

식량작물

원예작물

특용작물

사료녹비

잠사양봉

21,112 23,636 21,647 20,058 21,971 21,714 23,422 24,229 21,505 24,816 
총합 : 224,110

*자료 : 농촌진흥청 자료 재구성

 

<최근 10년간(11~20년) 품종개발 현황 >

작물'11'12'13'14'15'16'17'18'19'20

식량작물

원예작물

특용작물

사료녹비

잠사양봉

108109107113919273548269
총합 : 898

*자료 : 농촌진흥청 자료 재구성

 

 

 

<표 2>  

<최근 10년간(11~20년) 종자 무역수지 및 지불된 로열티>

(단위 : 억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합계

무역수지

(원화)

△73,357

△76,134

△77,092

△69,274

△66,253

△61,318

△57,748

△60,584

△65,241

△68,092

△675,093

로열티

172.6

175.7

162.4

136

123.2

117.9

103.9

110.1

103.8

96.9

1,302.5

 

*자료 : 농촌진흥청 및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자료 재구성

 

 

 

<표 3>  

<최근 10년간(11~20년) 미파악 보급품종 현황>

2011년~2020년

보급농가 수

총 898품종

37품종(4.1%)

 

*자료 : 농촌진흥청 자료 재구성

 

포토뉴스

더보기